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기차 충전 요금 인상 및 전기차 고속 충전 장단점

by 꿀팁 모음 2021. 9. 2.
반응형

 오늘은 전기차를 소유하거나 구매계획이 있으신 분들을 위해 전기차 충전 요금과 충전방법 및 충전 시간(고속 충전 장단점)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거리를 보면 테슬라를 비롯하여 국내 전기차 생산업체들의 많은 전기차들이 거리에 보입니다. 이미 전기차의 보급이 세계적으로 빠르게 늘어났습니다. 

 

1. 전기차 충전 요금 인상

 모든 분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당연히 전기차 충전요금 일것입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전기차 충전 요금은 보조금이 지급되어 저렴했지만, 전기차의 수요와 공급이 늘어나면서 보조금이 축소되고, 충전 요금 가격도 인상되었습니다. 전기차 충전 방식에는 완속 충전과 고속 충전이 있는데, 완속 충전을 이용하게 되면 그나마 고속 충전에 비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 아이오닉 5 롱 레인지 모델을 예로 들면 1Kw 당 170원에 충전을 할 수 있다고 보면, 고속 충전의 경우에는 1Kw당 3~400원의 두배 가까이 되는 금액을 지불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1만 2천 원 정도 부과될 돈이 3만 원 이상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기차가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많은 분들의 사랑을 받고 있지만, 연료의 효율성 때문에 고객들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아왔는데, 이렇게 전기차 충전요금이 높다면 연비 좋은 하이브리드 차량 보다 가성비가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아래는 전기차 급속충전기 충전비용을 비교한 자료입니다.

전기차 충전요금 인상
전기차 충전요금 인상

  전기차는 아직도 경제성이 좋은 자동차 입니다. 완속 충전 시 휘발유 대비 30%의 요금만으로 운행이 가능하며, 고속도로에서도 통행비 50%로 할인이 됩니다. 또한 엔진오일 같은 내연기관의 필요 오일류의 교환에서도 훨씬 경제적으로 이득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잘 사용한다면, 편리성뿐만 아니라 경제성으로도 훌륭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기차 요금 인상이 매우 아쉽지만, 전기차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을 맞추기 위해서는 어쩔수 없는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2. 전기차 충전 시간(고속충전 장단점)

 차량마다 전기차 충전 시간이 다르지만 현대 아이오닉 5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완속 충전의 경우 70kW의 용량을 가진 아이오닉5의 경우에는 10시간 이상이 소요되게 됩니다. 고속 충전기를 사용하면 1시간이면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 면에서 완충 기준으로 2배 이상의 전기요금이 나올 확률이 크며, 80% 이상 충전이 되었을 경우에는 고속 충전의 체감상 충전 속도가 크지 않다고 합니다.

 

3. 전기차 충전 방법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전기차 충전방법은 고속충전과 완속 충전 두 가지가 있습니다. 고속충전기는 고속도로 휴게소나 대형마트 등의 편의시설에 많이 설치되어 있고, 완속충전기는 아파트나 작은 규모의 업소에 많이 설치되어있습니다.

 고속 충전의 경우 역시 현대 아이오닉5를 예로 들면 한 시간 정도면 80% 이상의 배터리가 충전 가능하며 완속 충전에 비해 5배 이상의 충전 속도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
전기차 충전 커넥터 및 차량 소켓

 조금 더 충전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산차 현대와 기아의 전기차의 충전 방식은 DC캄보라는 형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고속 충전을 위해서 이전 모델의 DC차데모라에서 DC캄보라는 7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완석 충전이 가능한 5핀만 사용하는 곳에서는 AC단상 5핀도 사용이 가능하며, 5핀 단상으로 GM의 볼트와 르노의 조에 등이 같은 충전 형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르노의 구형 모델 SM3의 경우에는 AC3상의 7핀을 사용하고 있어 향후 새 모델이 출시될 경우 5핀이나 DC캄보 7핀으로 표준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밥값을 안내면 부자가 될까?/ 부자되는법

 

밥값을 안내면 부자가 될까?/ 부자되는법

밥값 안내는 사람이 오히려 가난하다/ 부자 되는 법 밥값을 잘 내는 사람과 밥값 낼 때마다 도망가는 사람 중에 누가 더 성공할까요? 오늘은 밥값 계선에 대해 경제학 관점에서 이야기해보

withinfo.tistory.com

 

반응형

댓글